“투자 수익이 났다는데, 왜 내 통장에 들어온 돈은 생각보다 적죠?”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수익이 생겼지만 금융소득세로 예상보다 적은 금액만 입금돼 실망한 적 있으신가요?
특히 은퇴 전후로 금융소득이 늘어나는 시기엔 세금 절세 전략이 꼭 필요합니다.
오늘은 금융소득세의 기초 개념부터 실전 절세 전략까지, 꼭 필요한 내용만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금융소득세? 먼저 이것부터 이해해야 합니다
‘금융소득세’라는 말, 낯설게 들리실 수 있어요.
사실 우리가 은행에 돈을 넣고 받는 이자, 주식이나 펀드에서 나오는 배당금도 모두 국세청이 과세 대상으로 보는 '금융소득'이에요.
이런 소득에는 세금이 붙습니다.
금융소득의 종류는 두 가지입니다.
- 이자소득: 예금·적금 이자, 채권 이자 등
- 배당소득: 주식 배당금, 펀드 수익분배금 등
이 둘을 합쳐서 '금융소득'이라고 해요.
그리고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으면, 세금 계산 방식이 확 달라집니다.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세금 차이는 얼마나 날까요?
금융소득에 붙는 세금은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어요. 바로 분리과세와 종합과세입니다.
분리과세: 14% 세금 떼고 끝
예·적금 이자나 배당금이 생기면, 보통 자동으로 세금 14%가 떼인 금액이 입금되죠. 이게 바로 분리과세입니다. 따로 세금 신고할 필요도 없어요.
예를 들어, 이자 100만 원이면 14만 원 세금이 떼이고, 86만 원이 입금됩니다.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이하일 때만 이 방식이 적용돼요.
종합과세: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세율 껑충
하지만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넘으면, 이제는 근로소득·연금소득 같은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세금을 매기게 됩니다. 이를 종합과세라고 하고, 세율은 6.6%부터 시작해 최고 49.5%까지 올라갈 수 있어요.
예시:
근로소득이 연 5,000만 원이고, 배당소득이 연 3,000만 원이라면?
2,000만 원을 초과한 1,000만 원이 종합과세 대상이 되어, 상황에 따라 300만~500만 원 이상의 추가 세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
2천만 원 초과분만 합산 과세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세금 때문에 손해 보지 않으려면? 절세 전략 3가지
1. ISA 계좌 활용 – 수익은 나는데 세금은 덜 낸다
ISA는 절세 전용 통장입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연간 2,000만 원(총 1억 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일반형은 200만 원, 서민형/농어민형은 400만 원까지 수익이 비과세됩니다.
ISA 계좌의 절세 포인트:
- 수익 중 일반형은 200만 원, 서민형/농어민형은 400만 원까지 비과세
- 초과 수익은 9.9% 저율 과세
- 예금, 펀드, ETF를 하나의 계좌에서 통합 운영
- 손익을 합산해 과세 대상 줄이기 가능
예: 배당 ETF 수익이 300만 원일 경우 (일반형 기준) → 200만 원 비과세, 초과 100만 원은 9.9% 과세 → 세금 약 10만 원
(※ 2025년 7월 기준: 정부는 ISA 비과세 한도를 일반형 500만 원, 서민형/농어민형 1,000만 원으로, 연간 납입 한도를 4,000만 원으로 확대하는 세법 개정안을 발표했으나, 아직 국회 통과 전 단계입니다. 해당 개정안이 통과되면, 더 큰 혜택이 실제로 적용될 예정입니다.)
절세 목적이라면 가장 먼저 시작해볼 수 있는 계좌입니다.
2. 연금저축·IRP – 세액공제 + 노후 준비까지 한 번에
연금저축과 IRP는 노후 준비뿐 아니라 지금 당장의 절세 효과도 큽니다.
연금저축·IRP의 절세 포인트:
-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납입 가능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세액공제 16.5%
- 초과 시: 세액공제 13.2%
- 연금 수령 시 3.3~5.5% 저율 분리과세
예: 연금저축에 300만 원을 납입하면 약 39만 원 세금이 줄어듭니다.
노후 준비와 절세를 동시에 챙길 수 있는 대표 전략입니다.
3. 비과세 상품 챙기기 – 놓치기 쉬운 숨은 혜택
일부 금융상품은 조건을 충족하면 세금이 면제되기도 해요.
알아두면 좋은 비과세 상품:
- 장기 저축성 보험: 10년 이상 유지 시 이자 전액 비과세
- 농특세 면제 펀드: 일부 채권형 펀드는 추가 세금 면제
단, 조건이 복잡하니 초보자는 ISA와 연금저축부터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똑같은 수익이라도 어디에, 어떻게 투자했느냐에 따라 세금 차이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수익률만 보지 말고 세금도 꼭 계산하세요
세금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수익을 갉아먹는 큰 요소입니다.
소액 투자라도 절세 전략을 제대로 활용하면 수익을 지키는 힘이 생깁니다.
ISA, 연금저축은 누구나 시작할 수 있고,
지금부터 준비하면 은퇴 이후에도 더 여유 있는 삶을 누릴 수 있어요.
투자는 수익이 전부가 아닙니다.
세금도 고려해야 진짜 똑똑한 투자입니다.
함께 읽어보시면 좋아요
👉 먼저 읽으면 좋은 글:
적금 1000만원, 10년 후엔 얼마 남을까? 놓치기 쉬운 적금의 함정들
적금 1000만원, 10년 후엔 얼마 남을까? 놓치기 쉬운 적금의 함정들
"적금이 가장 안전하잖아."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시죠. 하지만 10년 전 1000만원으로 살 수 있던 것들을 지금 1000만원으로도 살 수 있을까요? 적금통장 숫자는 늘어나는데 실제로는 돈의 가치
mysmartlog.tistory.com
👉 다음으로 읽으면 좋은 글:
투자 목표 설정하기: 나에게 맞는 투자 기간과 수익률은?
투자 목표 설정하기: 나에게 맞는 투자 기간과 수익률은?
"돈을 불리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만으로는 투자를 꾸준히 이어가기 어려워요. 뚜렷한 투자 목표가 없다면 시장의 작은 변화에도 쉽게 흔들리거나, 남들이 좋다는 상품에 무작정 뛰어들었다가
mysmartlog.tistory.com
'초보 투자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대 50대도 늦지 않아! 월 10만원으로 5천만원 만드는 노후 투자법 (5) | 2025.07.23 |
---|---|
투자 목표 설정하기: 나에게 맞는 투자 기간과 수익률은? (5) | 2025.07.23 |
적금 1000만원, 10년 후엔 얼마 남을까? 놓치기 쉬운 적금의 함정들 (8) | 2025.07.20 |
은퇴 자금이 사라진다? 커피값으로 배우는 돈 가치 하락과 인플레이션 대처법 (5) | 2025.07.18 |
복리의 마법, 단리보다 몇 배 더 불어나는 돈의 진짜 비밀 (0) | 2025.07.01 |